새마을금고 부실 지점 공시정보로 확인하는 방법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

새마을금고 부실 지점 공시정보로 확인하는 방법 – 새마을금고에 대한 보도가 이어지면서 일부 분들은 이미 가입했던 예금을 해지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는데요. 해당 부분에 대해서 불안하지 않도록 각 새마을금고에서도 고객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문자메세지등을 통해 현재 경영상태를 보내는 곳도 있으며, 정부에서도 연일 메세지를 내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우가 다르긴 하지만 부산저축은행 사태도 있었던 만큼 불안감이 쉽게 사그라들지는 않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새마을금고 부실 지점 공시정보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이 글은 새마을금고의 공시정보가 이런 상태인 경우 부실하다 / 안전하다 는 판단을 내리는 글은 아닙니다. 뉴스 기사에 따르면 정부나 새마을금고 중앙회에서도 부실 위험이 있는 일부 새마을금고에 대해 조사를 시작하고 조치에 들어갔지만, 당장 위급한 상태가 아닌 경우 부실 지점 리스트 발표 때문에 뱅크런 등 더 큰 금융패닉이 올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다만, 이 글은 소비자 입장에서 그래도 안전하면 얼마나 안전한지, 상태가 어떤지를 알아볼 수 있는 객관적 지표로 자체 발표하는 공시정보를 알아보는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므로, 가입하신 새마을금고가 안전한지에 대한 판단은 본인의 개인적인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새마을금고 정기공시 확인하는 방법

정시공시는 새마을금고 웹사이트에서 사업안내 – 정시공시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안내 - 정기공시

정기공시는 6월 상반기 / 12월 하반기로 반기 단위로 공시됩니다. 6월 상반기 정기공시의 경우 공시기한이 8월 31일까지이므로 대부분의 새마을금고의 정기자료는 작년 말 (2022년 12월) 기준으로 해야 찾으실 수 있습니다.

금고명으로 검색하기

때문에, 상반기 정기공시자료는 8월 말이 되어야 확인이 가능하므로 해당 정기공시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참고하시고 만약 새마을금고에 예치하시는 것이 불안하다면 가입하시려는 새마을금고에서 직접 문의하시는 것이 좀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정기공시로 부실 곳인지 안전성 판단해 보기

아래의 예는 얼마전 대출채권 부실로 인해 인근 새마을금고로 흡수합병이 결정된 남양주동부 새마을금고의 2022년 12월 정기공시 자료입니다. 단순 참고를 위해 예시로 들었으며, 정기공시 보고서가 안전성을 보장해 주지는 않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1. 경영실태평가

복잡한 게 싫다라고 할때 가장 먼저 봐야하는 것은 경영실태평가등급입니다. 종합등급은 1등급 ~ 5등급까지 있는데요. 1등급일 수록 좋은 등급, 5등급일 수록 나쁜등급입니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2023년 경영실태평가 등급 1분기 자료에 의하면 3등급 이하를 받은 곳이 202곳으로 전체 15.6%에 달하는데요. 특히 이중 4등급은 10곳으로 3~4등급을 받은 새마을금고의 경우 경영개선요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는 얼마전 파산한 남양주동부 새마을금고의 2022년 말 경영실태평가 등급입니다.

경영실태평가 등급 확인

20. 대출채권 현황

대출채권 현황에서는 대출이 어디에 많이 나갔는지 알 수 있는자료입니다. 최근 문제가 되는 부분이 부동산 PF 대출인데요. 해당 대출의 경우에는 기업자금대출에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자금대출이 많은 경우 부동산 PF 대출에 많이 노출되었다고 추측해볼 수도 있습니다.

간혹 일부 회사의 이름을 단 직장 새마을금고의 경우 기업자금대출은 정말 소규모나 거의 없고 90프로 이상이 가계자금대출인 새마을금고도 있는데요. 이런 새마을금고는 상대적으로 부동산PF에 노출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덜 위험하다고 추측해볼 수도 있겠습니다.

대출채권 현황

24. 고정이하여신 및 부실여신 현황

고정이하여신과 부실여신이란 아래 설명된 것처럼 대출회수가 의문시되거나 손실로 추청되는 또는 손실이 확정된 대출금액입니다. 아래의 예의 경우 남양주동부 새마을금고의 2022년 12월 고정이하여신 및 부실여신 현황입니다. 총 대출금에서 고정이하여신은 4.11%, 부실여신은 0.39%로 볼 수 있는데요. 금액으로 따지면 110억정도가 되네요.

뉴스 기사에 따르면 2023년 초 600억원대의 부실 대출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인근 새마을금고로 합병이 결정되었다고 하는데요. 아래의 정기공시자료에서 고정이하여신을 확인해 보면 2021년 말 1.51%에서 2022년 말 4.11%로 크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고정이하여신 및 부실여신 현황

기본 지표들

위험가중자산대비자기자본비율 (BIS)

위험가중자산대비자기자본비율이라는 어려운 단어보다 BIS라는 약자를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BIS는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 (대출금, 미수금, 유가증권 등)으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8% 이상인 곳인 경우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는습니다. 하지만, 수치로는 알 수 없는 것이 남양주동부 새마을금고의 BIS 비율은 2022년 12월 말 기준 10.6%로 안정적이었으며 2021년 12월 대비 0.11%가 증가한 값이었습니다.

순고정이하여신비율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고정이하여신 – 대손충당금) 한 금액을 (총 여신 – 대손충당금)으로 나눈 값입니다. 고정이하여신은 위에서 말씀드렸드시 고정여신과 회수할 수 있을 지 모르는 회수의문 여신, 손실로 추정되는 추정손일을 얘기하는데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은 곳일 수록 부실자산이 많다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말 1.03%에서 2022년 말 3.1%로 꽤 높아졌는데요. 수치 상으로는 위험하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상승폭이 꽤 가파르다는 점은 유의할 만 합니다.

연체대출금비율

연체대출금비율은 말 그대로 대출금에서 연체가 되는 대출금의 비율을 말합니다. 2021년 말 기준 1.03% 였던 것이 2022년 말에는 5.83%로 가파르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2023년 6월 말 기준으로 새마을금고의 평균연체율은 6.18%로 꽤 높아진 상태입니다.

유동성비율

유동성 비율은 3개월 이내 만기되는 예적금을 정상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유동자산의 비율입니다. 100% 이상인 새마을금고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위에 예시로 든 새마을금고의 경우 2022년 말 정기공시 보고서의 수치만으로는 폐업 후 인근 금고와 합병이 필요한 상태인지 알 수 없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해당 금고의 정기공시 보고서를 예로 든 것이기도 합니다. 새마을금고의 정기공시 보고서는 6월 / 12월에 결산하여 +2개월 말까지 보고하게 되어 있는데요. 뉴스에 따르면 1월부터 금고의 연체율이 갑자기 높아졌다고 했으므로, 해당 연체율은 정기공시 보고서에는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뉴스에 나온 감사결과에 따르면 정상적인 대출 규정대로 된 것이 아니라 규정을 어기고 대출을 내주고 부실하게 관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럴 경우 아무리 튼튼한 곳이라도 순식간에 위험에 빠질 수도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정기공시 보고서를 봐야하는 것은 표시된 수치들로 기본적인 위험은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예적금 가입시 현재의 연체율이나 유동성비율 등을 확인해 보시면서 수치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참고해 보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새마을금고의 예적금의 경우 새마을금고법으로 새마을중앙회에서 1인당 5천만원까지 보장해 주고 있으며, 이번 남양주동부 새마을금고의 예처럼 부실화된 새마을금고의 경우 일부 악성채권을 새마을중앙회에서 인수하고 나머지 예적금 및 건전한 채권등은 인근 새마을금고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현재까지는 폐업으로 인해 만기되는 예적금을 못받는 사례는 없다고 합니다. (단, 경제상황은 예측하기 힘드므로 새마을금고 예적금에 가입하신다면 금고당 5천만원 이하로 예적금을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새마을금고 부실 지검 공시정보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지금까지 팁소다 였습니다.

이 글은 단순 정보 정리를 위한 글로 투자, 예적금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니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