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보수월액 조회방법 (월평균소득 조회 / 임대주택 청약시)

이 가이드는 건강보험 보수월액 조회방법에 대해 정리합니다.

청년임대주택이나 행복주택, 임대주택 등 신청시 신청자격으로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두는 게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월 소득이 낮은 분들에게 먼저 혜택을 주기 위함입니다만, 보수월액이라는 것이 좀 생소하기 때문에 신청 자격에 맞는지 아닌지 판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먼저 건강보험 보수월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 보수월액이란?

월급이라고 통칭하게 되지만 여기에는 기본급과 고정수당, 기타수당, 식대, 운전보조금, 출장비 등이 포함되어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본급, 고정수당, 기타수당 등은 세금이 부과되는 금액이고 식대, 운전보조금, 출장비 등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비과세 금액인데요.

보수월액이란 월급에서 비과세 금액을 뺀 나머지인 세금이 부과되는 금액만을 합한 것입니다. 기본급 + 직책수당, 정근수당 등의 고정수당 + 기타 수당을 더 한 금액이 보수월액입니다.

건강보험료 산정시에는 이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가 산정되기 때문에 만약 보수월액이 궁금하다면 건강보험 웹사이트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상여금이나 연차수당, 퇴직금도 포함되나요?

상여금이나 연차수당, 퇴직금 등은 일시적인 소득으로 보수월액에 포함되지 않고 연간 보험료 정산시 따로 반영이 됩니다.

임대주택 신청시 소득기준은 어떻게 판단하나요?

임대주택 신청시 공고문을 읽어보시면 소득기준에 대한 내용도 알 수 있는데요. 대부분의 소득기준이 있는 임대주택의 경우 월평균소득 기준으로 자격요건을 나누는데, 해당 공고문이 올라온 날을 기준으로 소득을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2월 5일에 해당 공고문이 올라왔다면, 2월 달의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자격요건에 맞는지 판단해 보면 됩니다.

자격요건 표에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나와있지만, 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하겠다는 내용이며, 실제로 내가 자격에 맞는지는 공고일이 있는 해당 월의 보수월액만 비교하면 됩니다.

건강보험 보수월액 조회방법 (월평균소득 조회)

  1. 건강보험공단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
  2. 웹사이트가 변경이 되서 메뉴 찾기가 힘들어 졌습니다. 상단의 민원서비스 – 서비스찾기를 누른 다음 서비스 찾기를 다시 선택합니다.
  1. 서비스 찾기에서 보험료 조회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보험료 조회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1. 보험료 조회를 선택합니다.
  1. 보험료 조회에 대한 내용이 표시됩니다. 오른쪽에 있는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1. 상단의 탭이 있습니다. 직장보험료 조회 탭을 선택합니다.
  1. 페이지를 아래로 내려보면 조회년도가 올해로 선택이 되어 있습니다. 검색을 원하는 연도를 선택한 후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2. 아래 목록으로 각 월별 보수월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강보험 보수월액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임대주택 신청시 소득 자격 기준은 해당 임대주택 공고문이 나온 달의 보수월액을 판단하는 거라는 부분 꼭 헷갈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예: 임대주택 공고문이 2025년 5월에 나왔을 경우, 2025년 5월의 자신의 보수월액이 자격조건에 맞는지 판단)